'부용대(芙蓉臺)'는 하회마을의 서북쪽 강 건너편 소나무 숲 옆에 있는 해발 64m의 절벽입니다. 부용대란 이름은 연꽃을 뜻하는 '부용'에서 따왔다고 하며, 처음에는 북애(北厓)라 했는데 이는 하회의 ‘북쪽에 있는 언덕’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화천서원 근처 주차장에 차를 세운 후 조금만 걸어 올라가면 금방 정상에 도착합니다. 정상의 절벽에서 하회마을의 전경을 조망할 수 있습니다. 예천 회룡포와 비슷한듯 하면서도 다른 모습입니다. 하회마을 소나무숲 근처에 있는 나룻터에서 배를 타고 이쪽으로 건너올 수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제473호로 지정된 만송정(萬松亭) 숲 앞 모래밭을 거니는 분들이 보이네요. 부용대 정상에서 조금 더 걸어가면 유성룡의 맏형인 유운룡이 세운 '겸암정사(謙唵精舍)'가 있는데 깜빡 잊고는..
'병산서원(屛山書院)'은 본래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豊岳書堂)'을 1572년(선조 5년)에 류성룡(柳成龍) 선생이 지금의 병산으로 옮긴 것이라고 합니다. 1868년(고종 5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이 내렸을 때에도 보호되었다고 합니다. ☞ 병산서원 웹사이트 : http://www.byeongsan.net 서원의 입구 양쪽으로 배롱나무가 잘 심어져 있으며, 참 잘 정돈된 곳이라는 느낌을 주는 서원입니다. 서원의 정문인 '복례문(復禮門)'입니다. 보통 서원의 정문은 삼문(三門)이 일반적인데 비해 병산서원은 가운데 칸만 있고 좌우로는 담장으로 구분되는 벽채를 한칸씩 두고 있습니다. 복례문을 들어서기 전에 뒤를 돌아다보면 앞으로 펼쳐진 풍경이 꽤나 보기 좋습니다. 복례문을 지나면 병산서원에서 가장 널리 알려..
예천 회룡포를 구경한 다음 안동으로 이동해서 구시장 찜닭골목으로 안동찜닭을 먹으러 갔습니다. 시장에서 가까운 공영주차장에 차를 세운 후에 찜닭골목을 구경하면서 인터넷에서 찾은 음식점을 찾아갔습니다. 찜닭골목이라는 이름처럼 찜닭집들이 쭈욱 늘어서 있습니다. 우리가 찾아간 집은 '위생찜닭'이라는 곳인데, 가게 문을 열고 들어가서 다락방이 딸린 작은 가게 안에 앉아 찜닭을 주문하면 아래 사진처럼 가게 밖에서 찜닭을 조리한 다음 가져다 주십니다. ☞ 위생찜닭 : 남동시 남문동 181-7 / ☏ 054-852-7411 매운맛, 보통맛, 순한맛 세가지가 있는데 우리 가족은 보통맛으로 주문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중간 빨간 고추가 눈에 띕니다. 잘 익은 닭고기와 당면, 그리고 꽤나 달달할것처럼 보이는 ..
경상북도 예천의 '회룡포(回龍浦)'는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과 금천이 마을의 남쪽과 서쪽을 350도 휘감아 돌아가는 육지 속의 섬마을처럼 발달된 곳입니다. 마을 주위에 펼쳐진 고운 모래밭과 마을 주위를 휘감아 도는 강물이 일품이 멋진 경관을 자랑하는 마을입니다. 마을 건너편 비룡산에 있는 전망대인 회룡포 전망대에 오르면 마을 경관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주차장에 차를 세운 후 장안사를 지나 계단을 따라 걸어갑니다. 장안사에서 그리 멀지 않은 짧은 거리라 금방 전망대에 도착합니다. 전망대인 '회룡대(回龍臺)'에서 바라본 마을의 모습입니다. 마을의 밭들이 푸르고, 주변을 흐르는 물이 넉넉해지면 더 멋진 풍경일테지만 지금은 그런 모습을 바랄 수 없는 계절입니다. 전망대에서는 바로 앞에 있는 나무들이 마을의..
구경도 못한 봉평신라비 전시관을 지나 가까운 죽변항에 있는 SBS 드라마 '폭풍속으로' 세트장에 잠시 들렀습니다. 이 드라마는 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도 두번이나 세트장을 찾아옵니다. 바닷가 작은 절벽위에 세워진 모습이 참 그럴 듯합니다. 안에는 들어가 볼 수 없습니다. KBS '1박 2일' 방송 때문인지 이곳도 예전에 비해서 찾아오는 분들이 많이 늘었네요. ☞ 예전에 다녀온 글 : http://blog.paran.com/hangamja/24255003 오늘은 파란 하늘과 구름이 참 예쁩니다. 촬영장 건너편으로는 대나무 숲이 있습니다. 오솔길을 걸으면 대나무 숲이 바람을 막아줘서 천천히 산책하기에 참 좋습니다. 중간 중간에 동해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가 몇군데 있습니다. 대나무 숲 오솔길이 끝나는 ..
여행 마지막 날 숙소에서 아침식사하고 체크아웃한 다음 7번국도를 통해 동해안쪽으로 올라가는 길에 관동팔경 중에 하나로, 정철의 '관동별곡'에도 나오는 '망양정(望洋亭)'이라는 정자에 들렀습니다. 망양해수욕장 바닷가 언덕에 자리잡고 있어 동해를 한눈에 굽어볼 수 있어 정자에서 바라보는 경치가 관동팔경 중에 으뜸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정자에 앉아서 동해바다를 바라보면 가슴이 시원합니다. 망양정을 지나 조금 더 북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국보 제242호인 '울진 봉평신라비'가 있다고 합니다. 2007년에 이근처를 지날 때 이정표를 보고 찾다가 못 찾았던 곳이라 다시 한번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근처에 '울진봉평비 전시관'이라는 것이 있는데 아직 공사가 안 끝난 것인지 들어가 볼 수는 없었습니다. 동네분에게 여쭤보니..
드디어 34번 국도가 끝나고 영덕에 도착하여 이번 여행의 주목적인 대게를 먹으러 강구항으로 향하는데 토요일이라서인지 항구로 들어가는 차량들이 꽤나 많이 정체되고 있었습니다. 겨우 겨우 주차하고는 잠시 항구 구경을 했습니다. 2008년에 왔을 때와 항구의 모습은 같은데 대게를 판매하는 방법은 좀 달랐습니다. ☞ 2008년에 다녀온 글 : http://hangamja.tistory.com/283 전에 왔을 때에는 작은 좌판들이 소규모로 몇개 정도 있었는데 이제는 재래시장처럼 정리된 좌판들이 들어서 있습니다. 그때보다 가격적으로 저렴한 건지는 알 수 없으나 요즘 배가 나가지 못해서 대게값이 조금 올랐다고 합니다. 크기가 좀 큰 박달대게 같은 것은 가격이 꽤나 비싸서(4~5마리에 10만원 정도) 5만원에 8마리..
여행 둘째날, 아침식사 후에 안동을 출발하여 영덕으로 향했습니다. 출발전 지도를 보니 영덕으로 가는 길에 주왕산 국립공원 근처를 지나길래 잠시 주산지에 들렀습니다. 주차장에 차를 세운 후 낮은 언덕길을 약 15분 정도 걸어가야 합니다. 주산지는 조선 숙종 때 쌓기 시작해서 이듬해인 경종 때에 완공한 저수지인데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촬영지와 멋진 사진들로 많이 알려진 곳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추운 겨울이라 저수지 물은 다 얼어 있고, 대부분의 나무들은 잎이 다 떨어지고 가지만 남은 계절이라 사진에서 보던 멋진 풍경과는 거리가 아주 멉니다. 게다가 찬 바람까지 불어와 차분하게 사진찍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 일단 주산지 초입에서 전체적인 사진부터 한장 찍었습니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
경북산림과학관을 구경한 후 안동댐 하류에 있는 '월영교'에 들렀습니다. '월영교(月映橋)'는 2003년에 만들어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나무다리라고 합니다.(길이 387m) 지난 11월에 왔을 때에는 야경이 아주 멋있었는데, 그때와 다르게 아직 해가 지기 전이라 월영교 전체의 모습을 살펴보기에는 오히려 좋습니다. 다리 중간에 '월영정'이라는 정자가 하나 있고, 저 건너편 산 중턱에는 객사(客舍)와 석빙고 등이 있습니다. 월영교에서 바라본 안동댐의 모습입니다. 강 건너편에 있는 '안동 석빙고'인데 처음부터 여기에 있던 것이 아니라 안동댐 건설로 인해서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고 합니다. '선성현 객사'입니다. 객사에서 동쪽으로 내려오면 '안동 다례원'과 '전통문화 체험장'이, 더 위로 올라가면 KBS 촬영장..
도산서원을 구경하고 월영교 쪽으로 향하는 중 가까운 곳에 있는 '경북산림과학관'에 들렀습니다. 전시중인 내용은 자주 가봤던 국립생물자원관처럼 경북지역의 산림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 경북산림과학관 웹사이트 : http://www.gbfsm.or.kr 겨울이 아닌 다른 계절에 왔다면 생태숲과 야생동물 생태공원 등의 시설들을 같이 관람할 수 있었겠지만 지금은 겨울이라 산림과학관만 둘러봤습니다. 과학관 로비 중앙에 있는 조형물인데 꽤나 멋진 모습입니다. '산림의 역사와 자원'이라는 제1전시실입니다. 산림이 주는 혜택이나 산림의 보호방법 등을 알려주는 전시물들, 산림과 관련된 퍼즐 맞추기, 4D 입체영화(4D라고는 하지만 그게 쫌....) 관람 등을 체험해 볼수 있습니다. 조류와 야생동물 디오라마도 있습니다. ..
영주에서 점심식사를 한 후 숙소인 안동으로 향하던 중 도산서원을 들렀습니다. 영주에도 소수서원이라는 유명한 서원이 있지만 소수서원은 여러번 다녀왔고, 도산서원은 2006년도에 다녀왔었는데 그때에는 저녁쯤에 도착했고, 날씨도 매우 추워서 제대로 못 본 기억이 있던 곳이라 도산서원으로 향했습니다. ☞ 도산서원 웹사이트 : http://www.dosanseowon.com '도산서원(陶山書院)'은 퇴계 선생께서 낙향 후에 도산서당을 설립하여 후진을 양성하다 퇴계선생 사후 6년 뒤에 서당으로 완공되었다 합니다. 주차장에 차를 세운 후조금 걸어가야 하는데 길 가장자리에 줄맞춰 심어놓은 나무들이 보기 좋습니다. 서원 앞 낮은 동산(?)에서 보면 도산서원의 대략적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서원 정문 앞 강 건너편에는..
2010년 겨울 가족여행으로 경상북도 지역을 다녀왔습니다. 올해 겨울 날씨가 많이 추워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다행이도 여행하는 동안은 그리 많이 춥지는 않았습니다. 인천에서 조금은 일찍 출발한 덕에 고속도로가 정체되는 구간도 있었지만 오전중에 경상북도 영주에 있는 '부석사(浮石寺)'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작년 11월에 다녀올 때에는 가을 단풍 구경객들이 아주 많아서 엄청나게 붐비던 곳이었는데 겨울인 지금은 방문객이 별로 없었습니다. 덕분에 여유있게 구경하기에는 좋았지만 계절이 겨울이라 보이는 경치는 예전에 봤던 여름이나 가을의 경치만큼은 못하네요. ☞ 부석사 웹사이트 : http://www.pusoksa.org ☞ 이전에 다녀온 글 : http://hangamja.tistory.com/208 http..
- Total
- Today
- Yesterday